발아는 정말 힘들게 진행되고 있다. 발아 2차시도 때 적치마 상추와 로메인 상추, 그리고 네 가지 허브(바실, 파슬리, 타임, 로즈마리) 씨앗을 심었다. 아주 얕게 했는데, 적치마 상추는 100% 싹이 텄지만 나머지는 영 비실비실하다. 로메인은 70% 이상 발아가 되긴 한 것 같은데 성장이 들쑥날쑥하고, 허브는 거의 발아가 안 됐다. 타임이 조그맣게 떡잎을 내긴 했지만, 그마저도 상태가 안 좋아서 그냥 정리해 버렸다. 


그럭저럭 싹이 튼 것들은 저농도 배양액 있는 쪽으로 옮기고, 발아가 잘 안 된 것들은 스펀지를 다시 깨끗하게 씻고 새로 씨앗을 심었다. 로메인 상추는 스펀지 하나당 한 개씩 겨우겨우 스펀지 틈에 끼어있는 모양새가 될 정도로 얕게 심었고 허브도 비슷한 깊이로, 하지만 개수는 더 넉넉하게 심어 보았다.


지난번에 발아가 돼서 좀 큰 애들은 수경재배기로 옮겼다. 열 개 남짓 되는 스펀지를 수경재배 포트에 담고 난석으로 고정을 시켰다. 필드에 관들을 연결하고, 철물점에 가서 20리터들이 기름말통(원래는 주유소에서 기름 사오는 용도로 쓰는 것. 옛날에 석유보일러 쓰던 시절 난방유 배달시키면 알바 형아가 들고 오던 그런 기름통)을 5천원 주고 사와서 저울로 수경재배비료를 계량해서 집어넣고 녹여서 배양액을 20 L 만들었다. TDS 측정기로 재 보니 890  ppm 정도 나온다. 잎채소 기준 겨울철 권장 농도랑 비슷한데, 일단 좀 써 보고 세다 싶으면 물을 좀 섞어줄까 한다. 지금은 펌프를 24시간 돌리고 있고, 일주일 정도 돌려서 잔뿌리가 좀 많이 나오고 나면 타이머로 1시간에 15분씩만 순환시키면 된다고 한다. 펌프에서 소음이 많이 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공명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 소음은 큰 문제는 안 된다. 어차피 가족들 일상생활 공간이 아닌 베란다에 설치했기 때문에 조금 소리 나도 별 문제는 없다. 그나저나 옮겨심은 애들도 뿌리가 스펀지에 튼튼하게 박혀있지 않아 옆으로 쓰러지려고 한다. 절반 정도는 제대로 적응을 못하고 죽어나갈 것 같은 느낌이다.


발아하면서 워낙 삽질을 많이 하고 있다 보니 아내, 어머니 등 가족들이 다 저걸 언제 키우냐며 모종 사다가 그냥 하라고 난리지만, 이왕 이렇게 된 것, 오기가 발동해서 어떻게든 그냥 해 보려고 한다. 실은 살짝 의지를 꺾은 게 있는데, 코스트코에서 산 로메인 하트의 뿌리 방향 끝을 남겨서 난석으로 고정해서 수경재배기에 넣어 보았다. 이렇게 해 두면 거기서 실뿌리가 자라고 잎도 새로 나서 수확이 가능하다고 한다. 잘 나오는지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좋아 보이면 씨도 받아서 나중에 그 씨앗으로 키울 수도 있겠다.


우리 동네는 농촌에 가까운 곳이라 밭이 많은데, 일부 논이나 포도밭을 제외하면 대부분 주인들이 직접 농사 짓기 힘들어서 연회비 받고 빌려주는 주말농장이다. 베란다 밖을 내다봐도 코앞에 주말농장이 잔뜩 있다. 그 근처에서 모종도 많이 판다. 모종을 볼 때마다 그냥 저렇게 예쁘게 키워진 모종을 사다가 씻어서 수경재배하는 게 나을까 하는 고민을 한다. 인터넷에서 흙 안 쓰고 스펀지만 사용하여 수경재배용으로 기른 모종을 파는 곳도 있다. (여기) 이건 솔직히 좀 끌리긴 했는데, 하나에 4,000원이나 하니 차마 손이 떨어지지 않았다. 노하우가 쌓이면 모종을 키워서 파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수요가 꾸준히 있을지는 매우 의문이지만...


이번 글은 사진도 없이 글만 있는데, 다음에는 꼭 사진과 함께 글을 올려야지...

지난 번에 9월 15일에 파종한 얘기를 썼는데, 안타깝게 첫 파종은 대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 스펀지에 씨앗을 너무 깊이 집어넣은 게 실패의 원인이었던 것 같다. 많은 씨앗들이 제대로 빛을 보러 나오지 못했고, 일부만 발아가 되었으며, 그 중에도 살아남은 건 몇 개 되지 않았다.



위 사진이 파종한지 6일 됐을 때의 모습이다. 살아있는 놈이 거의 얼마 안 된다. 처참한 발아율... 씨앗을 너무 깊숙이 넣어서 그런지 씨앗들이 제대로 살아남지 못했다.


그나마 살아남은 놈들만 모아서 따로 배양액이 담긴 통으로 옮겼다. 배양액은 수경재배 키트에 들어있던 걸 썼는데, 일단 소량만 만들려니까 은근히 양 맞추기가 힘들었다. 그래도 TDS 측정기(샤오미 수질측정기)로 TDS가 500 ppm 정도가 되도록 맞춰서 500 mL 정도를 만들었다. 요리용 1g 단위 측정 가능한 저울로는 이 정도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지금 살아남은 단 일곱 개 뿐인 상추들의 모습. 어떤 게 로메인이고 어떤 게 적치마 상추인지는 잘 모르겠다. 적치마 상추가 발아율이 높았기 때문에 아마도 적치마가 더 많지 않을까 추측할 뿐이다.


이런 불상사를 겪고 어제 발아를 다시 시도했다. 전에 실패한 스펀지들을 그대로 재사용했는데, 이번에는 씨 일부가 밖으로 삐져나올 정도로 얕게 심었다. 그리고 씨앗이 마르지 않도록 휴지를 한 장 덮고 그 위에 물을 뿌렸다. 



오른쪽에는 좀 큰 스펀지들이 보이는데, 그 스펀지에는 허브 씨앗을 심었다. 파슬리 로즈마리 타임 바질, 이렇게 네 가지 허브를 한 화분씩 키워서 요리할 때 잎 뜯어 넣는 용도로 쓸 계획이다. 타임 씨앗은 정말 작다. 지금까지 본 씨앗 중에 거의 제일 작은 것 같았다. 파슬리가 은근히 씨앗이 크고 단단하다.


이번에는 부디 발아가 잘 되어 본격적으로 수경재배기를 돌렸으면 좋겠다.


그리고 수경재배 키트도 좀 더 조립을 했다. 원래 보내온 왕자행거가 안타깝게도 우리 집 베란다 화분 놓는 구역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수직봉으로 바닥과 천장 사이에 고정하는 왕자행거를 주문했는데, 그걸 받아서 베란다에 설치했다. 원래 키트에 들어있는 왕자행거는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지만 이건 그게 안 된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일단 설치해 놓고 고정해서 쓸 생각이라면 이동형 왕자행거에 비해 좀 더 깔끔해 보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위 사진은 키트를 대충 조립한 사진. 아래쪽에 있는 흰 통에 배양액이 들어가고, 행거에 달린 금속 브라켓이 수경재배 필드를 지지하는 구조다. 저 필드도 플라스틱으로 가볍고, 그 속에 배양액도 가득 차 있지 않고 바닥에 거의 1 cm 미만으로 깔려서 흘러가는 정도인 데다가 식물이 담기는 화분도 구멍 숭숭 뚫린 플라스틱 화분이고 화분 안에도 스펀지와 난석만 조금 들어가 있어서 무게가 얼마 나가지 않는다. 그래서 왕자행거로도 지지력은 충분하고 넘치는 수준이다. 오른쪽 사진은 일단 필드까지 다 꽂은 상태. 여기에 배관 연결하고, 발아 끝내고 본잎이 5-6장 정도까지 나면 화분으로 옮겨서 저기에 집어넣고 본격적으로 키우는 거라고 한다. LED 고정은 적당히 글루건과 나무조각이나 골판지, 고무줄 등을 활용해서 해 줘야 할 것 같다. 정식으로 하려면 재료비가 너무 많이 들어. 아직 베란다에 짐이 잔뜩 쌓여 있어서 정리가 안 돼 있고, 베란다에 전원 플러그가 어디 있는지 잘 모르겠다. 만약 전원 플러그가 없으면 끌어와야 하는데 대체 어디서 끌어와야 하나 고민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