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누군가와 대화를 하다가, 넌 취미가 뭐냐고 해서 음악 듣는 걸 좋아한다고 답했다. 주로 어떤 음악을 듣느냐고 해서 I usually enjoy listening to classical music. 이라고 답했는데, 그 친구가 "classical music"을 좋아하는지 아니면 "classic music"을 좋아하는지 물은 적이 있었다. "classical music"과 "classic music"의 차이를 몰랐기 때문에 차이를 물어보려 했으나, 다른 사람이 조금 연관된 다른 잡담으로 대화를 이어가다 보니 흐지부지 그 얘기는 지나가고 말았었다. 한 번 기록도 남길 겸 Classical music, classical music, classic music의 차이를 적어볼까 한다.


우선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서 고유명사처럼 적는 Classical music은 우리말로 옮기자면 고전주의 음악을 뜻한다. 최대한 상세하게 풀어쓰자면 music from the Classical period in Western music 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서양음악사에서 대략 1730년경부터 1820년경까지의 시기에 만들어진 음악이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같은 작곡가의 곡들을 떠올리면 된다. (베토벤과 슈베르트는 낭만주의로 넘어가는 시기의 작곡가라고 할 수 있긴 하다.)


첫 글자를 소문자로 적는 classical music은 우리말로는 고전 음악, 서양 고전 음악, 또는 클래식 음악이라고 옮길 수 있는 음악으로, 우리나라에서 “클래식”으로 통용되는 게 보통 classical music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레고리오 성가 같은 중세 음악, 바흐의 바로크 음악, 하이든, 모차르트의 고전주의 음악, 바그너, 브람스의 낭만주의 음악, 드뷔시, 스트라우스의 근대음악에서 라이히, 글래스의 현대음악/포스트모던 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음악으로 분류할 수 있다.


"classical"이 아닌 "classic"이라는 단어로 수식하는 "classic music"은 장르를 불문하고 오랫동안 많은 대중들이 널리 즐겨들어온 음악을 가리킨다. 그냥 우리가 “고전이라고 할 수있는”, 또는 “고전이 되어 버린” 정도의 수식어를 붙이는 음악들은 다 classic music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classical music이 classic music이라고 할 수 있고,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클래식 음악 뿐 아니라 락, 컨트리, 재즈 등에서도 classic music으로는 여러 곡들을 꼽을 수 있다. 앞의 두 음악에 비하면 정의 자체가 주관적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규정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그걸 고전이라고 할 수도 있고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여지가 많다.


집합 관계로 따진다면 Classical music은 classical music의 부분집합이고, classical music은 classic music의 부분집합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물론 classical music 중에서 현대음악이나 포스트모던 음악은 classic music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많이 있을 법하다.)


P.S. 회사에서 오픽 시험을 보라고 하는데, 그거 준비하려면 취미 같은 거 영어로 말하는 연습을 좀 해야 하는 것 같아서 이런저런 걸 떠올려 보다가 classical music과 classic music의 차이가 생각나서 끄적여봤다.


P.P.S. 궁금해서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classical music을 검색해 봤는데, 이건 뭐 완전 총체적 난국이다.

나는 원전을 좋아하진 않지만 그래도 원전 없이 살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지금 있는 원전들을 당장 폐쇄해야 한다는가 하는 주장에는 그다지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만 원전을 우리나라에 더 짓는다든가 무리하게 사용기간을 연장하는 건 반대한다. 예전에 비하면 태양광 발전 같은 게 더 이상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 되었기 때문이고, 적게 만들어서 적게 쓰는 방향으로 사회적 분위기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중국에서 황해 연안에 엄청나게 많이 새로 짓고 있는 원전에 대해서도 당연히 반대하긴 하지만, 요즘처럼 미세먼지 심한 거 보고 있노라면 어차피 깔릴 원전, 빨리 깔리는 게 낫겠다는 생각마저 든다. 중국에서 원전을 만드는 데 우리가 영향력을 미칠 수 없다면 더욱 더 그렇다. (중국이 우리의 엄중경고에 원전 건설 계획을 취소할리가...) 물론 중국이 대국답게(?) 원전 대신 사막에 태양광/태양열이나 풍력 발전소를 대륙의 스케일로 건설해서 그 전기를 사용해 준다면 훨씬 더 행복하긴 하겠다.


이런 생각들을 하다가 문득 궁금해져서 국내 발전만이라도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 없이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작년 그린피스 발표에 의하면 한국 미세먼지의 70%가 국내에서 만들어진 것이라 하고, 나사에서도 국내에서 발생된 미세먼지가 절반 정도라고 했던 것 같다. 중국에서 넘어오는 건 어쩔 수 없다고 해도 국내에서 발생하는 것만 확 줄여도 공기 질은 분명하게 좋아질 거다.


한전의 발표자료*에 따르면 2015년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 발전량은 545.5 TWh 정도였다.** 그 중 이산화탄소 배출 및 미세먼지 배출 문제가 거의 없는 에너지원의 발전량은 수력 5.8 TWh, 원자력 164.8 TWh, 대체에너지*** 16.7 TWh였다. 그러면 온실가스와 미세먼지 배출 문제가 있는 에너지원의 발전량은 총 358.2 TWh이다. 과연 이것을 전부 태양광 발전소로 바꾸려면 땅이 얼마나 필요할지 대략적으로 따져보자.


100 kW 태양광 발전소 하나당 평균 연간 발전량은 130 MWh 정도이며, 에너지 효율 16%인 다결정 태양광 모듈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때 100 kW 태양광 발전소 하나당 면적은 넉넉잡아 2,000 m^2이다.**** (약 45 m x 45 m 크기니까 꽤 작은 발전소다.) 면적으로 따진다면 5,511,000,000 m^2, 또는 5,511 km^2가 필요한데, 이는 축구장(7,140 m^2) 77만개 정도에 달하는 면적이다. 서울 면적(605 km^2)의 아홉 배, 제주도 전체 면적(1,848 km^2)의 세 배에 육박한다. 우리나라 (남한) 총 면적이 100,295 km^2니까 우리나라의 5.5%에 달하는 땅을 태양광 패널로 덮어야 한다. 어마어마한 면적이다. 이걸 짧은 시간 안에 하려고 하면 엄청난 반대에 부딪힐 게 뻔할 것 같다. 하지만 나는 핵융합 발전이 상용화되기 전까지는 이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태양광 발전 등의 확산에 있어서는 정책적인 유도가 아주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공장이나 사무실 등 업장 건물의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를 만든다고 해 보자. 지붕 면적이 1322 m^2 (약 400평) 정도면 100 kW 발전소를 만들 수 있다고 하는데, 보통 이 정도 업장이면 전기요금이 사업에 있어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자기 공장 지붕에서 만들어낸 전기를 자체적으로 사용하는 게 당연히 에너지 관점에서는 최선이지만, 한전의 요금체계를 감안한다면 공장용 전기가 워낙 싸기 때문에 직접 발전해서 쓴 만큼 할인받는 걸로는 투자대비 수익이 좋을 수가 없다. 그래서 공장 지붕 같은 것을 지금은 공장주가 다른 사람에게 임대해 주고 임대료를 받고, 거기에 발전소를 세운 사람이 한전에 전기를 팔아 돈을 버는 식으로 운영하는 것 같다. 그러나 정부와 한전에서 요금 및 구매 가격 체계를 바꾼다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공장, 건물, 창고의 지붕에 태양광 발전 패널이 깔릴 수 있을 거고 그만큼 더 깨끗해질 수 있을 거다.


몇 년 전부터 태양광 발전소를 지을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의 전력 매매 시스템으로는 투자대비 수익률이 그럭저럭 괜찮기도 하고, 환경에도 도움이 될 것 같기 때문이다. 안타깝게도 제일 중요한 땅(또는 돈)이 없는 관계로 아직 그냥 손가락만 빨고 있다. 아직 집도 없어서 먼 미래의 일이 되긴 하겠지만, 혹시라도 몇 억 정도 투자할 돈이 생긴다면 최우선적으로 태양광 발전소를 지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참고로 100 kW 태양광 발전소를 하나 만들면 연간 전력 판매 수입은 가중치 1.2 적용 발전소 기준 대략 3600만원 정도라고 한다.)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건 너무 깊지 않은 시골 어딘가 적당한 지역에 땅을 사서 거기에 채소공장을 짓고 그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 까는 것. 그리고 그 옆에 식당을 지어서 채소공장 투어도 시키고, 채소공장 프랜차이즈(?) 같은 것도 하고 식당도 운영하고 그러는 거다... ㅎㅎㅎ


* 한국전력통계 제85호, 2016년 6월, 한국전력공사

** 같은 해 기준 발전설비 용량은 101 GW 정도였다.

** 대체에너지에 매립지에서 생성되는 가스나 공장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가스로 만들어낸 에너지도 포함되어 있지만, 그러한 가스는 어차피 대기중으로 배출되었을 때 이산화탄소 못지않은, 또는 더 강한 온실가스 역할을 할 것이고 연소 후 미세먼지 배출량도 미미할 것으로 추정되므로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추가로 생성해내지는 않는 것으로 쳐도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 가지 문제는 폐기물 소각장(청라, 백석, 명지소각장 등)에서 만들어내는 에너지도 여기에 포함되는데 이 부분을 왜 여기에 포함시켰는지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 자료 출처: 주한 영국대사관 김지석 에너지 혁신 담당관 

+ Recent posts